본문 바로가기

선수행

대자비

관세음보살을 흔히 대자대비 관세음보살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대자비는 어떤 뜻입니까? 대자비는 타인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받아들이는 것이고 그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한다는 뜻입니다. 타인이 고통스러우면 내가 같이 고통스럽습니다. 그래서 내가 나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듯이 타인의 문제를 나의 문제로 보고 그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합니다. 이 때 나와 남이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나라는 상, 즉 아상이 없습니다. 아상이 없는 것이 대자비를 갖추기 위한 첫째 조건입니다. 

우리는 왜 대자비를 키워야 할까요? 대자비를 키우면 지혜가 열립니다. 문제를 해결하려고 애쓰는 과정에서 지혜가 커집니다. 대자비는 지혜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서 더 높은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서 대자비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만약 자비가 부족하면, 진전애 어려움이 있습니다. 특히 더 높은 단계의 깨달음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자비를 키우는 것을 간과할 수 없습니다.

그럼 대자비는 어떻게 키울 수 있나요? 우리가 하는 관세음염불, 보문품, 대비차, 42수안들이 다 대자비를 키우는데 도움이 됩니다. 대자비를 키우기 전에 먼저 아상을 없애야 합니다. 아상이 있는 한, 여러분은 기꺼이 손해를 보려고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상으로 여러분은 결코 다른 사람의 이익을 여러분의 이익보다 우선으로 둘 수  없습니다. 그래서 먼저 아상을 없애고 대자비를 키우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런 후에 한 단계 더 나아가서 무한한 자비를 키워야 합니다. 

여기서 한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초심자들은 대자비를 수행하기 위해 기꺼이 다른 사람을 도우려고 합니다. 그래서 때때로 본인이 감당할 수 없는 정도로 타인의 일에 개입하게 됩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일에 개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개입에 따른 대가를 치뤄야 하기 때문입니다. 본인의 역량에 맞지 않게 개입을 하면 믿음을 잃고 중도에 수행을 포기하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사람의 일에 개입하는 것을 권하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먼저 자신의 아상을 없애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2022년 마스터 방한 법문 중에서

 

 

 

 

'선수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야바라밀다 수행법  (1) 2022.11.16
수행에 필요한 5가지 요소  (2) 2022.11.13
번뇌를 없애는 법  (2) 2022.11.11
보시 수행과 복  (0) 2022.10.26
북방불교와 남방불교  (1) 2022.10.19